전체 글 174

[GoogleStudyJam] Prompt Design in Vertex AI

정리Prompt Design은 시스템이 수행하도록 요청받은 특정 작업에 맞게 조정된 prompt를 만드는 프로세스이다. Prompt Engineering은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설계된 프롬프트를 생성하는 프로세스이다. 도메인별 지식을 사용하거나, 결과에 답을 제시하거나. 높은 수준의 정확성이나 성능이 요구되는 시스템에 필요하다.이번 챕터에서는 Prompt의 적절한 사용에 대해 실습해보았다.Prompt를 통해 적절한 결과를 얻어내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주의사항을 지켜야 한다.Be conciseBe specific and well-definedAsk one task at a timeWatch out for hallucinations LLM은 사실이나 현실에 근거하지 않은 진술을 포함하는 텍스트를 생성하는 h..

Today I Run 2024.05.09

데브콘 서울 '삼월엔 일을 제대로 하자'

일잘알 기획자는 어떻게 일을 할까?3월 데브콘의 주제는 기획과 PM이지만 개발자인 내가 컨퍼런스를 참여하게 된 계기이다.여러 토이프로젝트와 현업에서 기획을 직접 하기도 하고, 기획자를 만나기도 했다. 나는 사회대를 졸업했기 때문에 글을 쓰고 문서를 만드는 일에 능숙했다. 아이디어를 글과 문서로 구체화하는 일은 어렵지 않았고 프로젝트에서의 핵심은 개발이었기 때문에, 대체로 기획문서작성 이라 불리는 기획 파트는 내가 맡아 보기좋게 다듬어 놓았을 뿐 많은 시간을 쏟지 않았다. 그리고 회사로 와서 '기획자'를 만나게 되었는데 내 기대와는 매우 다른 경험을 하게 되었다. 의문이 생겼다. 잘 하는 기획자는 어떤 기획을 할까? 내가 해낸 기획도 잘 해놓은 것은 아닐텐데.. 본이 될만 한 기획자를 찾고싶던 와중에 데브..

Diary 2024.05.09

[GoogleStudyJam] Introduction to Responsible AI

정리왜 구글은 AI원칙을 수립했는가?프로젝트 모든 단계에서 이루어진 결정에 AI원칙이 영향을 미친다. → 결정을 지지하지 않아도 프로세스를 신뢰할 수 있다.자체 비즈니스 요구 사항과 가치에 맞게 AI를 설계할 수 있다.“책임 있는 AI”에 대한 보편적인 정의는 없기 때문에 조직이 자신의 사명과 가치를 반영하는 자체 AI원칙을 개발하고 있다.구글의 AI 원칙 7가지AI는 사회적으로 유익해야 한다.AI는 불공정한 편견을 만들거나 강화하는 것을 피해야 한다.AI는 안전성을 위해 구축되고 테스트되어야 한다.AI를 사람들에게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AI는 개인 정보 보호 설계 원칙을 통합해야 한다.AI는 높은 수준의 과학적 우수성을 유지해야 한다.AI는 이러한 원칙에 부합하는 용도로 제공되어야 한다.구글은 아래와..

Today I Run 2024.05.09

[GoogleStudyJam] Introduction to Large Lanuage Models

정리수업의 목표 : LLM이란 무엇인가?LLM이란?사전 학습(pre-Trained) 된 다음 특정 목적을 위해 미세 조정(fine-tuned)할 수 있는 대규모 범용 언어 모델을 말한다.fine-tuned : 기본적으로 이미 훈련된 모델을 특정 작업에 맞게 추가적으로 조정하거나 조정하는 것을 의미. 적은 date set을 사용해 다양한 분야의 특정 문제를 해결하도록 모델을 맞춤화 할 수 있다.LLM을 세 가지 특성으로 정리할 수 있다.Large : 데이터의 양이 많다는 것이다. 페타바이트 규모의 큰 데이터를 사용한다. 또한 파라미터의 개수도 많다. HyperParameter라고도 한다. 매개변수는 기본적으로 기계가 모델 훈련을 통해 학습한 기억과 지식이다. 텍스트 예측과 같은 문제 해결에서 모델의 기술을..

Today I Run 2024.05.09

[GoogleStudyJam] Introduction to Generative AI

정리수업의 목표 : Gen AI란 무엇인가?일단 Gen AI를 알기 전에 AI에 대해 알아보자!AI와 머신러닝(ML)의 차이점은? : AI는 인간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는 기계를 만드는 학문. 머신러닝은 AI의 하위로 기계를 훈련하는 모델을 만드는 것이다.머신러닝의 모델은 레이블(label)의 유무로 나뉘는데 지도학습(Supervised Learning)과 비지도학습(Unsupervised Learning)로 구분한다.지도학습모델은 레이블이 지정된 데이터를 이용해 모델을 학습시킨다. 질문과 정답이 주어지고, 이후 새로운 데이터가 주어졌을 때 적절한 출력을 생성할 수 있다. 예측값과 실제값이 먼 것이 오류라고 볼 수 있다. 오차를 줄여내는 것이 "최적화" 이다.비지도학습은 레이블이 지정되지 않은 데이터를 사용..

Today I Run 2024.05.09

[GoogleStudyJam] 생성형 ai 첫 날!

평소 ai나 빅데이터같은 신기술(이라기엔 이미 메이저인)에 관심이 있었는데, 구글에서 초보자도 접할 수 있는 ai스터디를 모집한다고 해서 당장 신청했다.간단한 구글 클라우드 콘솔 사용방법에 대해 들었는데, 일단 영어를 읽는데 꽤나 많은 노력이 들었고(^^;;) 과제를 진행하면 바로바로 체크가 되서 진도가 나가는 것도 신기했다! 완주 가보자고용

Today I Run 2024.05.09